카테고리 없음

거래의 기록과 회계순환과정

티이썬 2024. 11. 27. 07:00
728x90

거래의-기록과정
회계순환과정

 

회계의 핵심은 기업의 모든 경제 활동을 정확히 기록하고, 이를 재무제표로 요약해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. 이를 위해 거래의 기록과 회계순환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래에서 각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.


1. 거래의 정의와 분석

거래란?
회계에서 거래는 기업의 재무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경제적 사건을 의미합니다.
예: 상품 판매, 급여 지급, 대출 상환 등.

거래 분석 방법

  1. 거래가 회계 기록 대상인지 판단: 회계에 기록할 필요가 없는 비경제적 사건(예: 계약 체결)과 구분합니다.
  2. 거래의 영향을 파악: 거래가 어떤 계정과목(자산, 부채, 자본, 수익, 비용)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합니다.
    • 예: 현금으로 상품을 구매하면 "재고자산 증가(자산)"와 "현금 감소(자산)"가 발생합니다.

2. 거래의 기록: 분개

분개란?
거래를 차변(Debit)과 대변(Credit)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과정입니다. 분개는 회계기록의 첫 단계로, 복식부기 원칙에 따라 작성됩니다.

분개 작성 과정

  1. 거래를 분석하여 영향을 받는 계정과목을 확인합니다.
  2. 차변과 대변에 기록할 금액을 결정합니다.
  3. 분개장을 작성합니다.

분개 예시

  • 현금으로 상품 구매(100만 원)
    • 차변: 재고자산 (100만 원)
    • 대변: 현금 (100만 원)

3. 분개에서 원장으로 전기

전기란?
분개장에서 작성한 거래를 각 계정별로 정리하는 작업입니다.
**총계정원장(Ledger)**은 모든 계정의 변동 내역과 잔액을 보여줍니다.

전기 과정

  1. 분개장에 기록된 거래를 각 계정별로 분류합니다.
  2. 총계정원장에 차변과 대변의 변화를 기록합니다.

예시

  • 분개장 기록:
    • 차변: 재고자산 (100만 원)
    • 대변: 현금 (100만 원)
  • 총계정원장에 전기:
    • 재고자산 계정: 100만 원 증가.
    • 현금 계정: 100만 원 감소.

4. 시산표 작성

시산표란?
모든 계정의 차변과 대변 잔액을 집계하여 대차평균 원칙(차변 = 대변)이 충족되는지 확인하는 보고서입니다.

작성 목적

  • 회계 기록의 정확성을 검증.
  • 재무제표 작성 전 계정별 잔액 확인.

작성 과정

  1. 모든 계정의 잔액을 차변과 대변으로 나눕니다.
  2. 차변과 대변 합계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합니다.

예시

계정차변대변

재고자산 100만 원  
현금   100만 원
합계 100만 원 100만 원

5. 조정 분개

조정 분개란?
기간 말에 정확한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 수익과 비용 계정을 조정하는 작업입니다. 예를 들어, 미지급 비용이나 미수수익 등을 조정합니다.

조정 분개 필요성

  • 발생기준(Accrual Basis)에 따라 수익과 비용을 올바른 기간에 인식.
  • 누락된 거래나 오류 수정.

조정 분개 예시

  • 월말에 발생한 미지급 급여(50만 원)
    • 차변: 급여비용 (50만 원)
    • 대변: 미지급비용 (50만 원)

6. 재무제표 작성

재무제표란?
회계 기록을 기반으로 작성된 보고서로,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과를 요약합니다.

주요 재무제표

  1. 재무상태표: 특정 시점의 자산, 부채, 자본 상태.
  2. 손익계산서: 일정 기간 동안의 수익과 비용 및 순이익.
  3. 현금흐름표: 현금의 유입과 유출.
  4. 자본변동표: 자본의 변화 내역.

예시

  • 재무상태표:항목금액
    자산 1,000만 원
    부채 500만 원
    자본 500만 원

7. 마감 분개

마감 분개란?
회계 기간 종료 시, 모든 수익과 비용 계정을 초기화하고 결과를 이익잉여금 계정에 반영하는 과정입니다.

마감 분개 필요성

  • 다음 회계 기간을 새로 시작할 수 있도록 수익과 비용 계정을 0으로 초기화.

마감 분개 예시

  • 순이익 100만 원을 이익잉여금으로 이전
    • 차변: 수익 (100만 원)
    • 대변: 이익잉여금 (100만 원)

8. 다음 회계 기간으로 이월

마감 후 모든 자산, 부채, 자본 계정의 잔액을 다음 회계 기간으로 이월합니다. 이를 통해 새로운 회계 기간이 시작됩니다.


회계순환과정 요약

  1. 거래 발생: 거래 분석 및 분개 기록.
  2. 전기: 총계정원장에 거래 내역 반영.
  3. 시산표 작성: 계정 잔액 검토 및 오류 확인.
  4. 조정 분개: 미수수익, 미지급비용 등 조정.
  5. 재무제표 작성: 재무상태표, 손익계산서 등 작성.
  6. 마감 분개: 수익 및 비용 계정 초기화.
  7. 다음 기간으로 이월: 잔액 이월 후 새로운 회계 기간 시작.

이 순환 과정을 이해하면 회계 기록의 흐름과 재무제표 작성 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추가적으로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! 😊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