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📘 거래의 기록과 회계의 순환 과정
회계, 도대체 어떻게 돌아가는 걸까?
거래는 어떻게 기록되고, 그 기록은 어떻게 재무제표로 이어질까?
이번 글에서는 회계의 기본 원리인 거래의 기록과 회계순환과정에 대해 쉽고 실용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.
📌 1. 거래란 무엇인가?
회계에서 말하는 '거래'는 단순한 사고나 대화가 아닙니다.
기업의 자산, 부채, 자본, 수익, 비용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경제적 사건을 말합니다.
🔍 예를 들어볼게요
- 물건을 판매하고 돈을 받았다 → 수익 증가
- 사무실 월세를 지불했다 → 비용 발생
-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다 → 현금 자산 증가 + 부채 증가
📌 핵심 포인트: 거래는 반드시 이중 효과가 있습니다. (예: 자산은 늘고 부채도 늘거나, 수익은 늘고 자산도 늘거나)
🔄 2. 회계 순환 과정이란?
회계는 한 해 동안 단순히 기록만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.
기록 → 분개 → 정리 → 수정 → 마감 → 보고까지 일련의 과정을 거칩니다.
이 일련의 흐름을 **회계순환과정(Accounting Cycle)**이라고 합니다.
📊 회계 순환 과정 단계 요약
단계 설명
① 거래 분석 | 거래가 발생하면 어떤 계정이 영향을 받는지 분석 |
② 분개(Journalizing) | 거래 내용을 분개장에 차변·대변으로 기록 |
③ 전기(Posting) | 분개된 내용을 총계정원장으로 옮겨 정리 |
④ 수정분개 | 회계 기간 말에 발생한 미지급, 미수 항목을 조정 |
⑤ 시산표 작성 | 계정별 합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표 작성 |
⑥ 마감분개 | 수익·비용을 0으로 만들고 이익잉여금으로 이월 |
⑦ 재무제표 작성 | 재무상태표, 손익계산서, 현금흐름표 등을 완성 |
📁 3. 재무제표는 이렇게 만들어진다
회계순환과정의 마지막 결과물은 바로 재무제표입니다.
이 재무제표는 기업의 건강상태를 보여주는 보고서이자, 투자자·채권자들이 가장 많이 보는 자료예요.
📄 재무제표 구성요소 정리
재무제표 설명
📋 재무상태표 | 특정 시점의 자산, 부채, 자본 상태를 보여줌 |
📈 손익계산서 | 일정 기간 동안의 수익, 비용, 순이익을 보여줌 |
💰 현금흐름표 |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영업/투자/재무로 구분 |
🧩 4. 거래기록 → 재무제표까지의 흐름 예시
- 거래 발생: 노트북 1대(100만원)를 현금으로 구매
- 분개: 자산(비품) +100만원 / 자산(현금) -100만원
- 전기: 총계정원장에 해당 내역 옮김
- 결산: 필요 시 감가상각 등 조정
- 재무제표 반영: 재무상태표의 비품 항목 +100만원 증가
✅ 마무리 정리
핵심 개념 설명
거래 | 자산, 부채, 자본, 수익, 비용에 영향을 주는 사건 |
회계순환과정 | 거래 분석부터 재무제표 작성까지의 흐름 |
분개 → 전기 → 결산 → 재무제표 | 거래가 실제 보고서로 이어지는 과정 |
💬 마치며
회계는 결코 숫자놀이가 아닙니다.
기업이 숨 쉬는 경제 활동을 객관적으로 기록하고 해석하는 언어입니다.
거래를 어떻게 기록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건강상태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고, 투자·의사결정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.
728x90
'기초 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거래의 기록과 회계의 순환 과정(Ver 2.0) (0) | 2025.02.21 |
---|---|
계정 과목과 분류(Ver 2.0) (0) | 2025.02.05 |
거래의 기록과 회계순환과정 (1) | 2024.12.04 |
수익인식과 비용인식 원칙 (0) | 2024.12.04 |
재무제표의 구성 요소 (0) | 2024.12.04 |